출처 : http://blog.daum.net/black-bb5/50

 

쿠다가속이라고 들어 보셨을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쿠다가속을 사용하지만, 그냥 그래픽 카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가속한다는 정도도만 알고 있습니다.

깊은 지식이 없다보니 자세한 설명은 다른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시는 좋을거 같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프리미어CS6에서는 쿠다가속을 이용하면 프리뷰 할때(영상을 플레이) 끊김 없이

자연스러운 플레이가 가능 합니다.

단, nvidia 그래픽 카드만 가능하고 nvidia도 상위급에서만 가능한 기능입니다.

그럼 쿠다가속을 사용하는 밥벙을 알아 보겠습니다.

 

1

프리미어를 실행 시켜 쿠다가속 여부 확인

프리미어 CS6을 기준으로 설정 해보겠습니다.

CS5와 CS5.5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 됩니다.

CS6의 프리미어 프로젝트 창을 열어 줍니다.

Renderer: 옆에 보시면 머큐리 엔진이 소프트웨어에만 으로 설정 되어있습니다.

 

2

명령창 실행

명령창을 실행 시켜 보겠습니다.

우선 시작 버튼 왼쪽 맨 밑에 윈도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그럼 ▶ 모든 프로그램 밑에 흰 바탕으로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이 보이 실겁니다.

이곳이 명령창 입니다. cmd라고 입력하시고 엔터를 눌러 줍니다.

 

3

명령창에 명령어 입력

명령창이 뜨면 cd..을 입력해 줍니다.

위의 그림 같이 cd..을 2번 입력합니다.

그럼 명령창에 C:\>가 보이실 겁니다.

이제 cd c:\program files\adobe\adobe premiere pro cs6 이라는 명령을 입력해 줍니다.

 

4

Gpusniffer 입력

이제 프리미어CS6 폴더로 들어 왔습니다.

gpusniffer이라고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그럼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 카드의 정보를 보여 줍니다.

 

5

그래픽카드 GPU 정보

여기에서 지금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카드의 GPU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하는 정보는 Name와 Capability를 확인 하시면 됩니다.

Name은 조금 있다가 사용해야하는 이름이니까 메모를 해 주세요.

Capability는 nvidia의 그래픽카드를 사용중이어도 Capability의 숫자가 1.0을 넘지 않으면 cuda가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1.0 이상이여서 시스템 구성상 안되는 경우도 있음)

그리고 맨 밑에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구버젼이라고 표시가 되어있네요!

이거 때문에 오류가 나서 업그레이드를 했더니 잘 되더군요~

 

6

cuda_supported_cards

c:\program files\adobe\adobe premiere pro cs6 폴더를 열어 주세요.

cuda_supported_cards를 메모장을 통해 열어 주세요~(참고로 불안하신 분들은 원본 파일을 백업해 두세요)

그럼 아래와 같이 열릴 겁니다.

물론 더블 클릭을 하셔도 되고요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해서 여셔도 됩니다.

 

7

8

GeForce GTX 560 Ti 추가

메모장에 자동으로 쿠다가 지원되는 그래픽 카드 목록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가지고 있는 그래픽카드는 없으니 추가 하겠습니다.

물론 어느 위치에해도 상관 없겠지만, 저는 순서를 좋아해서

GeForce GTX 560 Ti를 세번째 줄에 추가 했습니다.

각자 자신의 그래픽카드를 다 메모 하라고 말씀 드렸죠?

아직도 기억이 안 나신다면 아까전에 명령창에서 말씀 드린 Name에서

메모하라고 하신 부분이라면 기억 날지 모르겠습니다. 그걸 이 메모장에

기록해 줍니다.

 

9

10

메모장 저장

어떤 경우는 메모장이 바로 저장 될 경우도 있지만

저처럼 안된다면 저장된 파일을 찾기 쉽게 바탕화면에 저장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12

13 (1)

파일 옮기기

바탕화면에 저장된 cuda_supported_cards 문서를 복사하기나 아니면 잘라내기를

이용하여 원래의 폴더에 붙여넣기 해 주시면 됩니다.

본 파일의 위치는 c:\program files\adobe\adobe premiere pro cs6 이거 입니다.

파일을 붙여넣기하면 덮어쓰기를 하겠나고 나오는데 덮어쓰기 해주시면 됩니다.

어쩌다가 관리자 권한을 물어 보면 계속을 클릭 해 주시면 됩니다.

이제 거의 50% 이상은 끝났습니다.

이제는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고

아니면 오른쪽 아래 시간과 날짝 표시되는 곳 왼쪽을 보면

NVIDIA 제어판이 보이 실 겁니다. 열어 주세요~

 

13

NVIDIA 제어판

제어판이 열리 셨다면 왼쪽에서 3D설정관리를 클릭해 줍니다.

3D설정관리가 열렸다면 프로그램 설정 탭을 눌러 줍니다.

1. 사용자 정의할 프로그램 선택에서

Adobe Premiere CS4를 선택해 줍니다.(아이콘 색깔은 CS6인데 이름은 CS4이네요...)

다중 디스플레이/혼성 GPU 가속의 설정을 호환성 성능 모드로 바꾸어 줍니다.

그리고 적용을 누르고 창을 닫아 주시면 됩니다.

 

14

프리미어 CS6 실행 창

프리미어를 실행 시켜 줍니다.

 

15

Project Setting

새프로젝트를 열어 줍니다. 처음엔 Renderer 부분이 비활성화 되어 있었는데

이제는 선택이 가능합니다. 쿠다가속이 활성화 되면 자동으로 쿠다로 설정 되어 있으니

설정을 변경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제 쿠다를 이용해서 프리미어CS6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긴 시간 따라하시느라 수고 하셨습니다.

Posted by bv_co12

블로그 이미지
bv_co12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